외규장각 도서 환수 모금 캠페인

Search Results for 'Story'

158 POSTS

  1. 2007.06.12 4
  2. 2007.06.12 위닝 - 카를로스 프리킥
  3. 2007.06.10 데이트 3
  4. 2007.06.08 Ahnlab 분석1팀 2
  5. 2007.06.08 오늘 아침에..

Posted 2007. 6. 12. 11:01, Filed under: Story

사용자 삽입 이미지

(Gallus gallus domesticus)은 닭목 꿩과의 새이다. 고기와 을 얻기 위해 사육하는 가축에 속한다. Firefly Encyclopedia of Birds에 따르면 2003년 현재 지구 상에 240억마리 이상의 닭이 존재하며 다른 어떤 조류보다 더 수효가 많다.

닭의 새끼는 병아리라 부르며, 닭의 알은 달걀이라 부른다.

출처 - http://ko.wikipedia.org/wiki/%EB%8B%AD

-----------
난 닭인가.. ㅠ_-

그나저나 백과사전 페이지 한쪽 구석탱이에 닭튀김과 흰깍두기는 대체 뭔가;;
아무리 사용자가 편집하는 위키 백과사전이라지만 이건 닭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.




 

Response : ,

위닝 - 카를로스 프리킥

Posted 2007. 6. 12. 09:48, Filed under: Story


커맨드는 shift + x 로 밀어준 뒤에 ↑→ +  □  로 세번 끊어서 50%까지 채운다.

라고 하는데 과연 될까 -_-;
Response : ,

데이트

Posted 2007. 6. 10. 22:49, Filed under: Story

너무너무 설레고 재밌고.. 아쉬운 주말 데이트 ^^

또 보고 싶다 ㅋ

Response : ,

Ahnlab 분석1팀

Posted 2007. 6. 8. 09:10, Filed under: Story



내가 있는 분석1팀 소개!
나도 여기에서 일하구 있다구~
혁민이보다 하는 일은 더 없긴 하지만 나도 굉장히 뿌듯하다 ㅋ
그나저나 하루만에 많이도 포스팅했구나 ^^

굉장히 카테고리 같은게 잘 나눠져있구 깔끔하니 멋지네.
괜히 깔끔돌이 혁민이가 아니었어~
자주 놀러가야지 ^^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


http://sabo.ahnlab.com/200705/ahn_02_02.shtml


사이트의 말을 인용해서 소개하자면,

거침없이 'Core'팀 - 분석1팀

모든 부서가 중요하지만 ‘Core’라고 표현할 수 있다는 분석1팀. 바이러스가 계속 쌓이면 나중에 처리가 매우 어려운데, 이들은 그 때 그 때 발생하는 바이러스를 찾아내고 해결해 정상적으로 시스템이 가동될 수 있도록 분석하는 큰 역할을 수행 중이다.

고객들의 문의에 대해 해결책을 제시하고, 고객들이 보낸 샘플을 접수하여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응을 진행하는 고객 접점 부서 중 하나이다. “의사들이 파업하면 환자들이 어려움을 겪듯이, 분석1팀이 없으면 회사가 all stop 또는 마비가 될 정도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해요.”라며 자신 있게 말하는 차민석 선임연구원의 말을 통해 최고의 안랩이 되기 위해서는 부단한 노력이 뒷받침돼야 함을 알 수 있다.


많이 하는일은 없지만 괜히 내가 다 뿌듯해  ^____^



내가 어제 초대장을 날려줬던 혁민이의 블로그 ㅋ
http://lefts.tistory.com

거기에서 퍼온 글
하루만에 이렇게 많은 글을 올릴 줄이야..
그나저나 블로그를 꾸며가는 방식에서 성격이 참 많이 드러나는거 같다.
Response : ,

오늘 아침에..

Posted 2007. 6. 8. 09:01, Filed under: Story
밥먹으면서.. 문득 사람이 왜 먹이 사슬의 끝에 있는걸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-_-;;

너무 이것저것 많이 잡아먹어서 그런가;;

그리고 출근하면서.. 굉장히 이상한 걸 발견했는데..
다른 동물이나 식물들은 경쟁에서 도태되거나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면 죽게되는데..
인간은 왜 도태되어도 어지간해서는 죽지 않는걸까..;
왜 전혀 다른 방식으로 죽음을 맞이하게 되는건지..

이런 생각 쫌 무서운가..
이상한 아침이다 ㅋ
Response : ,

« Previous : 1 : ··· : 18 : 19 : 20 : 21 : 22 : 23 : 24 : ··· : 32 : Next »

Recent Posts

Recent Comments

Recent Trackbacks

Total hit (Today , Yesterday )

Admin Write Post